맛,건강

아스트라제네카 혈전 증상과 부작용 알아보기

소머즈1927 2021. 6. 8. 22:51
반응형

더보기

아스트라제네카 혈전 증상과 부작용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밤이 깊어가네요

오늘 마지막 포스팅 주제는 아스트라제네카 혈전증상과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스웨덴에 본사를 둔 영국계 제약회사입니다.

옥스퍼드 대학교와 코로나 19 백신을 개발하기로 계약을 맺었으며,

이름이 길어서 AZ 백신으로 줄여 쓰기도 합니다.

AZ 백신은 상온에 보관되어 있으며 이전에 사용되었습니다.

단가는 백신 재료만큼 저렴합니다.

생산과 대량 생산과 재판매가 용이합니다.

따라서, 개발 도상국 및 최빈국으로의 보급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또한 비영리 백신이기도 합니다. 아무런 이익이 없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주문을 확보했습니다고 합니다.


혈전(thrombus) 이란?

혈관 속이나 심장 속에서 혈액 성분이 국소적(局所的)으로 응고해서 생기는 응어리. 혈소판(血小板), 피브린, 적혈구 및

백혈구로 이루어집니다. 

건강한 사람의 혈액은 혈관 속에서 응고하는 일이 없지만, 혈관 내피의 손상이나 염증, 또는 동맥경화 등에 의한 이상,

혈액의 정체(停滯), 응고성이 높아진 경우에 그 국소에서 혈전이 생깁니다.

혈전이 생기게 되면 그 부분의 혈관을 좁히거나 또는 막아 혈류(血流)를 가로막거나 아주 멈추게 하거나 아주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습니다.

때로는 벽에서 벗겨져 하류의 혈관을 막아 그 부분의 장애를 일으키기도 하죠

심장의 관상동맥에 혈전이 생기면 심근경색, 뇌에 생기면 뇌혈전입니다.

때로는 혈액 속의 효소의 작용으로 부드러워져 저절로 풀리는 경우도 있다고 하나 늘 조심해야 합니다.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로, 혈전증은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혈전에 좋은 음식은?

혈전에 좋은 음식으로는 등 푸른 생선이 있읍니다.

등푸른 생선은 고등어나, 꽁치가 있으며 오메가-3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음식입니다.

오메가-3는 혈관 청소부라고도 불리며 혈전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며.

미역도 혈전에 좋은 음식으로 미끈한 점액질의 후코이단 성분은 혈액을 맑게 하고 피 생성을 돕기 때문에

꾸준히 섭취하면 좋다고 합니다.
[등 푸른 생선, 미역 : 오메가 3을 많이 꾸준히 먹을 것]

혈액을 정화하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볶은 우엉차도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혈전 증상 이란?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하며 혈전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환이 많습니다.


혈관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혈액 응고가 있으면 혈관이 막히고 혈류도 막힙니다.

이럴 경우 심장이나 뇌로 가는 혈관이 막히게 되기 때문에 아주 위험합니다. 


심장의 혈관을 막는 것은 심근경색을 유발할 수 있으며, 혈관을 막으면 뇌경색이 일어납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고 나서 혈전과 뇌출혈을 일으키는 사례가 여러 건 있었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30세 미만에게 혈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하여 접종 대상에서 제외시켰죠

아스트라제네카는 약한 감기 바이러스인 아데노바이러스가 병을 일으키지 않도록 약화시킨 다음, 일부 유전자가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들게끔 변형시켜 체내로 주입하는 방식으로

면역 반응으로 끌어낸다고 합니다. 이때, 스파이크 단백질이 세포의 잘못된 부분으로 보내졌을 때 돌연변이 단백질을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부작용 >>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란 무엇인가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 국내서 첫 공식 확인 이런 내용의 뉴스를 인터넷에서 본 적이 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뒤 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부작용이 나타나는 혈전증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 공식 확인되었다는 보도였죠.

혈전증은 혈소판 감소를 동반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불리며.

그동안 국내에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의심되는 사례가 여럿 보고된다 있었으나,

모두 혈소판 감소가 확인되지 않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의 부작용 사례로 분류되지 않았었는데요

5월 30일, 저녁 혈액응고 장애자 문단 회의를 개최해 해당 사례를 검토한 결과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사례 정의에

부합한다고 판단했다”며 “확정 검사인 혈소판 인자에 대한 항체검사를 진행한 결과 (5월 31일) 양성으로

최종 확인됐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런 부작용 위험 사례로 인하여,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30대 이상에서만 접종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또 언제 무슨 문제가 발생하였다고 나올 수도 있고점점 불신도 생기고, 그 백신의 부작용이 나만 피해 갈 거라는 보장도 없고, 

또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은 존슨 앤드 존슨의 자회사 얀센의 코로나 19 백신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된 부작용입니다.

미국은 전 연령대에 얀센 백신 접종을 권고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얀센 백신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마찬가지로

30세 이상만 맞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