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 하이닉스 주가 반도체 관련주 하락세 왜?
본문 바로가기
투자,재테크

SK 하이닉스 주가 반도체 관련주 하락세 왜?

by 소머즈1927 2021. 8. 27.

최근 제가 sk하이닉스 주식을 사들였는데요  사고 난 순간부터 오늘까지 계속 마이너스(-) 땅을 치고 울는 게 맞는지 , 아니면 그래도 우량주니까 기다려봐야겠다 하는데 그게 현실적으로 마음이 잘 안 잡혀요.. 아마도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저처럼 엄청난 손실로 인하여 낙폭이 클 줄 압니다만, 

 

요즘 반도체시장이 어떤가요? 오늘 소식을 찾아보니까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에서 압도적인 1위 기업인 대만의 TSMC가 반도체 가격을 최대 20% 인상한다는 소식인데요 현재는 아시다시피 반도체 품귀현상이잖아요.. 그래서 자재가 부족해서 반도체 관련된 업종들이 일손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일감이 없다고 하죠.. 그런 품귀현상으로 TSMC가 웨이퍼 가격을 최대 20% 올린다는 관련 기업에 통보를 했다고 합니다. 

 

TSMC는 지난해 가을부터 올해봄까지 반도체 가격을 10% 이상 올린 바 있는데요 그러나, 공급이 수요를 따라오지 못하고 부족 현상이 계속되면서 다시 한번 인상을 결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역대 최대 규모의 인상폭이라고 합니다. 반도체 부품이 들어가는 완제품 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는 소식이며 그로 인하여 아이폰 13 가격도 연쇄적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입니다. 

SK 하이닉스의 주가 하락은 ?

세계적인 반도체 기업인 미국에 마이크론 주가가 하락과 반도체 업계의 불황에 대한 부정적인 흐름으로 보이며 긴축 불안에 한국 증시를 팔고 돌아가서는 외국인 매수가 많아지고 있다는 소식이죠 요즘에 흐름새 분위기였는데요.

며칠 전 D램 가격이 올 1분기 상승세로 돌아선데 이어 2분기에도 큰 폭으로 올랐다고 합니다. 2분기 글로벌 D램 매출은 총 241억 달러(약 28조 1000억 원)로 직전 분기보다 25.6% 증가했으며, 재택근무, 원격학습으로 노트북 수요가 강세를 띠며 클라우드 기업들도 공급 부족에 대비하여 재고 확보를 꾀하였고 , 그래픽 D램, 소비자용 D램 등 틈새시장 수요도 늘어났다고 합니다. 하이닉스 27.9%와 삼성전자 43.6%는 2분기에도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나란히 2위 1위를 기록하며 점유율이 71.5%라고 합니다. 미국 마이크론까지 이들 3사가 D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4.1%에 달합니다, 3사 모두 ASP(평균 판매 가격)와 출하량이 함께 증가하며 기대치를 웃돌았습니다. 특히 삼성전자가 30.2%의 분기 성장률을 기록하며 더욱 앞서 나갔으며, 3분기에도 글로벌 D램 매출의 상승세가 이어지지만 수요는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SK하이닉스 

설립일 : 1949년 10월 15일

상장일 : 1996년 12월 26일

시가총액 : 75조 3,482억 원

시가총액 순위 : 코스피 2위

기업개요 :: 

  • SK그룹 산하 SK텔레콤이 하이닉스반도체를 인수하여 2012년 3월 SK 하이닉스로 출범시킨 메모리 반도체 전문 생산기업입니다.
  • 경기도 이천시 그리고 충청북도 청주시, 중국 우시와 충칭에 생산공장을 설치, 가동하고 있으며, 다수의 해외 판매법인과 사무소를 두고 있습니다.
  • 주력 생산제품은 DRAM, NAMD FLash 및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 제품이며, 시스템 LSI 분야인 CIS 사업에 재진 출하여 종합 반도체로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기업현황 ::

  • 재택근무 및 온라인 수업,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 등 비대면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센터 관련 서버와 PC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된바 외형은 전년대비 신장
  • PC, 모바일, 서버 등 전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의 수요 증가세와 인텔 NAND인수를 통한 사업 확대, 본격적인 메모리 가격 상승 등으로 매출 성장세 이어갈 듯합니다.

 

 

주가 ::

주가가 제가 매수한 시점부터 나락으로 떨어지듯 떨어졌네요.. 그래서 요즘 살짝 위로 움직이는 느낌이 미세하게 들더니 오늘도 하락세로 장 마감.. 아 지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