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신판매업 신고 안 하면 과태료 폭탄? 5분 만에 쉽게 하는 법!

by 소머즈1927 2025. 2. 9.

통신판매업 신고 방법 (2024년 최신 가이드)온라인 쇼핑몰(스마트스토어, 쿠팡파트너스, 네이버스토어, 블로그 마켓 등)을 운영하려면 통신판매업 신고가 필수입니다. 이걸 안 하고 사업을 운영하면 최대 1,000만 원의 과태료를 받을 수도 있어요. 오늘은 통신판매업 신고를 인터넷으로 쉽게 하는 방법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릴게요! 

 

통신판매업 신고가 필요한 사람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통신판매업 신고가 필수입니다.

✅ 스마트스토어, 쿠팡, 네이버스토어 운영자

✅ SNS·블로그 마켓을 통한 상품 판매자

✅ 오픈마켓(11번가, G마켓 등)에서 사업자 계정으로 판매하는 경우

✅ 개인 쇼핑몰 운영자 (카페24, 고도몰, 아임웹 등)

💡 단, 연 매출이 1,200만 원 미만이거나 직접 만든 수공예품을 소규모로 판매하는 경우는 면제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판매 기록이 지속되거나 광고·마케팅을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통신판매업 신고 절차 (5분 만에 완료)

이제부터 인터넷으로 빠르게 통신판매업 신고하는 방법을 차근차근 설명해드릴게요! -

✅ STEP 1.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1️⃣ [정부24 사이트(https://www.gov.kr/portal/main)](https://www.gov.kr/portal/main) 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후 검색창에 "통신판매업 신고" 를 입력하세요.

3️⃣ 검색 결과에서 "통신판매업 신고 (민원 신청)" 을 클릭합니다.

📌 비회원도 신청 가능하지만,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면 더 편리합니다.

✅ STEP 2. 통신판매업 신고서 작성

✔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 사업장 주소 입력 (자택 주소 가능)

✔ 대표자 정보 입력

✔ 운영 사이트 또는 오픈마켓 URL 입력 (예: 스마트스토어, 쿠팡, 네이버 스토어 링크)

✔ 취급 상품 기재 (예: 의류, 액세서리, 건강식품 등)

✔ 결제 방식 선택 (카드결제, 무통장입금 등)

💡 스마트스토어, 쿠팡파트너스 등의 오픈마켓을 운영하는 경우, 대표 사이트 주소(URL)를 입력하면 됩니다.

✅ STEP 3. 서류 제출 (필수 제출 서류)

✔ 사업자등록증 사본

✔ 대표자 신분증 사본

✔ 영업소 임대차 계약서 (자택 사업자의 경우 불필요)

📌 서류는 스캔 또는 사진 촬영 후 파일로 업로드하면 됩니다.

📌 온라인 사업자는 사업장 주소를 자택으로 입력하면 별도의 임대차 계약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STEP 4. 수수료 납부 (신고비: 약 4~5만 원)

- 수수료는 약 40,500원~50,000원 정도이며, 카드결제 또는 계좌이체로 납부 가능합니다.

- 지자체마다 비용이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확인 후 결제하세요!

📌 수수료 결제 후 접수하면 처리가 시작됩니다.

📌 보통 3~7일 내에 승인 완료됩니다.

✅ STEP 5. 신고증 발급 및 사업장 등록

- 신고가 완료되면 통신판매업 신고증을 PDF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 사업자등록증과 함께 오픈마켓(스마트스토어, 쿠팡, 11번가 등)에 등록하면 됩니다.

💡 이후 쇼핑몰 하단에 '통신판매업 신고번호'를 꼭 기재해야 합니다.

 예시: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 2024-서울-1234호

 

통신판매업 신고 후 꼭 확인할 사항

오픈마켓(스마트스토어, 쿠팡 등)에 등록 필수

쇼핑몰·블로그·SNS 마켓 등에 신고번호 기재

사업자등록 이후 매출이 발생하면 세금 신고 준비하기

부가가치세 신고 (1년에 2번, 1월·7월)

 

결론: 통신판매업 신고, 꼭 해야 할까?

💡 온라인에서 상품을 판매한다면 무조건 필요합니다!

💡신고 안 하고 운영하면 최대 1,000만 원 과태료 부과 가능

👉신청 방법이 어렵지 않으니, 오늘 바로 통신판매업 신고하세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