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전환율 계산기 활용해보기
6월 부터 전월세 신고제를 시행 한다고 해요~
도시지역 보증금이 6000은 넘기면 대상이 된다는데.. ㅜ.ㅜ
신고는 하겠는데 그럼 또 뭐 부과세같은거 내야 할듯 한데..
진짜 돈없는데 자꾸 뭘 내라고 하고 뭘 자꾸 올린다.. 흐엉!
국토부, 부동산 거래신고법 하위법령 입법예고 위반시 최고
1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하네요..
<<참고로, 전월세신고제 란 ? 임대인이나 임차인이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지자체에
신고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저의 오늘 포스팅 주제는 ,전월세 전환율 계산기를 사용해보는 방법을
적어볼까 합니다.
전월세 변환율 이란 ?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변환 하는 비율을 말합니다
기존 4% 에서 2.5% 하향 조정
그리고 역으로 월세에서 전세를 바꾼다라고 하면?
월세를 살고 있었던 임차인이 정말 월세는 너무 아깝잖아요
열심히 월급이든 용돈이든 모아서,, 전세로 전환할때는 세율이 어떻게 적용되나
궁금하시죠.
월세→전세도 전환율 2.5%일까요?…
뉴스를 보니까 등록임대 임차인에 '보증금 폭탄' 이라는 제목을 보았는데요
등록임대주택 임차인이 월세를 전세로 전환할 때
일반 임대주택 세입자보다 높은 환산 보증금을 부담해야 한다고 해요.
정부가 정책적으로 도입한 등록임대주택이 오히려 서민들의 부담을 늘릴 수 있다는 이야기!
전·월세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변환하는 비율로 원래 4% 수준(기준금리+3.5%포인트)이었다고 합니다
그러나,2020년 9월 정부는 임대인들이 늘어난 세금 부담을 임차인에게 전가하기 위해 전세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면서 이를 2.5%(기준금리+2.0%포인트)로 낮췄다. 8억원인 전세 보증금을 5억원으로 낮추고
나머지를 월세로 바꿀 경우,
기존에는 월 100만원을 내야 했지만 바뀐 전·월세전환율을 적용하면 월 62만5000원만 내면 된다고 합니다.
늘 보면 돈 없는 사람만 부담감이 커지는 느낌이 들기도 하고,,
집이 있으면 또 세금을 내야하고,,어렵다 그쵸?
그래도 열심히 삽시다요..ㅠ.ㅠ
오늘도 화이팅 하세요~~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림 뉴타운 6000가구 주거 타운 들어온다? (0) | 2021.05.01 |
---|---|
부동산p2p 어니스트 펀드 어때? (0) | 2021.04.29 |
용인 드마크 데시앙 분양가 : 모델하우스 평면도 알아보기 (0) | 2021.04.13 |
종합부동산세 계산기 알아두고 잘 활용하기 (0) | 2021.04.13 |
국민임대주택자격 알아볼까? (0) | 2021.04.12 |